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데스크탑에서 와이파이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방법이에요. 집이나 사무실에서 랜선이 없거나 랜선 설치가 어려울 때, 데스크탑도 노트북처럼 무선 인터넷을 쓸 수 있는지 궁금하셨죠? 오늘은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아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무선랜카드가 필요해요
데스크탑에는 보통 와이파이 기능이 없어요. 그래서 무선랜카드(USB나 내장형)를 따로 사서 연결해야 해요. USB 무선랜카드는 USB에 꽂기만 하면 바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어서 가장 쉬워요.
초간단 3단계
USB 무선랜카드를 컴퓨터에 꽂아요. 컴퓨터 오른쪽 아래에 있는 와이파이 아이콘(부채꼴 모양)을 클릭해요. 집이나 사무실 와이파이 이름을 선택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연결 끝! 윈도우10 이상이면 드라이버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조립PC라면 체크!
새로 컴퓨터를 맞추는 경우, 메인보드에 WIFI가 붙은 제품을 사면 랜선 없이도 바로 와이파이를 쓸 수 있어요. 이때는 메인보드에 동봉된 와이파이 안테나를 꼭 연결해야 해요.





윈도우에서 바로 설정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 상태라면, 작업표시줄 오른쪽 하단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해서 와이파이 목록을 확인하고 원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돼요.





문제 해결 팁
무선랜카드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확인해요. 와이파이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요.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면 컴퓨터 위치를 바꿔보세요. 그래도 안 된다면 컴퓨터를 재시작하거나, 무선랜카드를 뺐다 다시 꽂아보세요.
데스크탑에서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 이유
데스크탑에는 보통 와이파이 기능이 없어요. 그래서 무선랜카드(USB나 내장형)를 따로 사서 연결해야 해요. USB 무선랜카드는 USB에 꽂기만 하면 바로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어서 가장 쉬워요.
USB 무선랜카드로 연결하는 법
와이파이 내장 메인보드 사용법
새로 컴퓨터를 맞추는 경우, 메인보드에 WIFI가 붙은 제품을 사면 랜선 없이도 바로 와이파이를 쓸 수 있어요. 이때는 메인보드에 동봉된 와이파이 안테나를 꼭 연결해야 해요.
연결 후 와이파이 설정 방법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 상태라면, 작업표시줄 오른쪽 하단의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해서 와이파이 목록을 확인하고 원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돼요.